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학문적 깊이가 너무 떨어져요

2021.08.31

4

3011

계산 랩인데

1. 하이 임팩트 저널은 페롭스카이트 솔라셀
2. 돈 되는거 (기업과제) 촉매
3. 원래 랩에서 하는 것 - 돈도 안되고 저널도 그냥저냥인데 그래도 논문쓸거리는 젤 많음

입니다.

다쓰기는 그렇지만 1번-2번 관련해서도 진짜 말도 안되게 그냥 막계산돌려서 (가정 검증도 안하고) 결과 막 냅니다. 그래프 찍으면 교수 참조해서 디자이너한테 보냅니다. 그럼 디자이너가 멋드러진 일러스트를 만들어옵니다.

이 연구는 하면서도 진짜 찝찝합니다. 거의 막계산이라 전혀 맞을것 같지도 않고 이게 솔직히 어느 숫자든 다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에 돈 많은 실험랩에서 나온 결과를 주면 거기와 비슷하게 나오도록 다 나오게 할 수가 있습니다. 그러면 논문이 나가고.. 이런 식입니다.

교수님에게 한번 좀 말씀드렸더니 원래 먹고사는거라 다 그렇고 아카데믹한건 그 외 시간에 해서 졸업논문은 학문적인걸로 쓰라고 하시는데.. 자괴감이 많이 듭니다. 이거 저만 그런건지요. 연구자라는게 저런건지도...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개

IF : 2

2021.08.31

교수님 말씀처럼 취업하고 먹고 살기 위해서는 안할 수는 없습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실력보다는 실적 위주로 보기 때문에 어느 정도 실적 채우기 작업을 해놓으면 졸업 후 취업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그런데 먹고 살만한데도 그런 연구만 하는 분들도 계세요.
논문 공장 차려서 과제비 연구비 타는거죠... 이런 실적에서 오는 교수들 부수입이 꽤 많다는 것은 잘 아실겁니다.
그래서 엄청난 논문 실적에 비해서 학계 평판은 안좋은 교수님들이 상당수 계시죠.

그래도 이런 고민을 하시는걸 보니, 마인드가 좋으셔서 중심을 잘 잡으실 듯 합니다.
웃는 빌헬름 뢴트겐*

2021.08.31

거기가 어딘데?
슬기로운 도스토예프스키*

2021.08.31

원래 연구란 게 다 그래요. 네이처, 사이언스 논문 나오는 것도 심한 건 재현성 10번 하면 1번 나오는 그런 것도 있어요.
산업으로 가야 수율 따지는 거죠.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