옆에 실험실로 간 동기 보니 저년차인데도 리뷰를 2편? 3편? 쓰는데 저 보다 실적이 좋아보여서 부러웠어요
하는실험이 잘 안되고 그런데 저도 먼저 교수님께 쓰겠다고 말해도 될까요? 그리고 리뷰로 실적을 채워두면 나중에 중요하게 작용할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2개
2023.10.31
임용때는 꽤 필요함 정량실적을 스코어로 계산하는 학교는 리뷰도 있어야함
대댓글 1개
눈치보는 장자크 루소작성자*
2023.10.31
아하 진로에 따라서 다르군요 임용 생각하는 친구라 꼭 필요할수 있겠네요
2023.10.31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리뷰는 리서치 아티클이 아니라 보통 실적으로 못 씁니다;;
대댓글 2개
눈치보는 장자크 루소작성자*
2023.10.31
윗 댓글이랑 상반되어서 어렵네요 ㅠ
2023.11.01
동국대 한번 보고 오삼 ㅋ
용감한 제임스 와트*
2023.10.31
실험논문을 내는게 가장 좋고.. 그게 불가능하면서 당장 실적을 어디서라도 쌓아야 하니까 쓰는게 리뷰논문입니다. (물론 진짜 빅저널에서 요청들어와서 쓰는건 자랑스럽게 말할 수있겠지만..) 실적으로 쓸수는 있겠지만 학교에서의 시각도그렇고 다른 사람들도 그렇고 실적으로 쳐주지는 않죠
대댓글 1개
2023.10.31
리뷰논문을 그냥 본인이 낸다고 받아주는 저널들이 얼마나 있을까요.. 저도 포닥, 박사때 한편씩 주저자로 썼는데, 둘다 초청이였습니다. 둘중 하나는 탑저널이고 하나는 적당한 저널이네요. 저도 임용당시 논문실적에는 추가했지만, 대표논문(5개)에는 포함시키진 않았습니다.
2023.10.31
리뷰로 실적을 채우는 거보다는 연구 논문 쓰면서 쓸 수 있으면 리뷰도 쓰는 거죠. 리뷰 쓴다고 연구 논문 없는 게 커버되진 않습니다. 연구 논문 있는데 리뷰도 있으면 더 좋은 거죠. 쓰면서 배우는 것도 많아요. 정량 실적에는 들어가는 학교 있고 안들어가는 학교 있고요.
대댓글 1개
눈치보는 장자크 루소작성자*
2023.11.01
들으면 들을수록 어렵네요 ㅠㅠ
2023.10.31
Research article이 뒷받침되면 당연히 리뷰페이퍼도 실적으로 들어갑니다. 5편 주저자로 냈는데 그 중 한편이 리뷰페이퍼라고해서 4편으로 적는사람도 없고, 4편으로 평가하는 사람도 없습니다. 리뷰페이퍼는 그리고 보통 지도교수가 그 분야의 전문가로서 저널측으로부터 invite되어 쓰는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다만, 위에 언급한것처럼 research article 없이 review paper만 있으면 이상하게보겠죠.
대댓글 1개
눈치보는 장자크 루소작성자*
2023.11.01
연구력이우선시 되어야 한다는 거군요
2023.10.3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어차피 중요한 실적 아니니 연구 열심히 해서 급 높은 저널 내면 그게 더 낫습니다. 리뷰 논문 쓰는것도 시간 오지게 걸려요.
대댓글 2개
눈치보는 장자크 루소작성자*
2023.11.01
아하 동기를 억지로 따라갈 필요는 없군요
2023.11.0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네 어차피 구글 스칼라 등에서 신진 연구자 citation 볼때도 리뷰논문은 빼고 봅니다. 인용수 2000이라서 오 높네 햇는데 리뷰논문 몇편이 1000이면 아 리뷰빼고 1000이구나 하지 아무도 2000이라고 생각 안해요.
2023.11.01
저는 개인적으로 학생 등 젊은 연구자들이 (교수님과 함께) 책을 쓰거나 리뷰논문쓰는 것을 좋게보지 않습니다. 책이나 리뷰논문은, 해당 분야를 어느 정도 통달한 사람들이 쓰는것이 옳다고 보아요.
대댓글 1개
눈치보는 장자크 루소작성자*
2023.11.01
사람마다 의견이 갈리나 보네요 ㅠ
조급한 찰스 배비지*
2023.11.01
리뷰논문이 진짜 통달한 대가들이 분야를 관통하는 좋은 인사이트를 주는 리뷰여야 가치가 있는건데요, 요새는 그냥 너도나도 써대니까 레퍼런스 묶음집... 정도로만 간주하는게 현실입니다 그렇다고 쓰기 쉽냐 하면 정리하는데 나름 노력도 들어가는데 그만큼 인정 못받는거죠
저라면 그시간에 연구를 하겠습니다.
대댓글 1개
2023.11.01
레퍼런스 묶음 ㅎㅎㅎ.
요즘 리뷰 논문이 늘긴 했지요. 그래도 실적이 되고 공부한거 정리용으로 써서 sci하나 늘리면 나쁘진 않을 듯한데. 물론 억셉해줄 곳이 있으면
2023.11.01
정량 평가 시 반영된다는 것 빼고는 큰 도움은 안 되는게 일반적이죠.
대댓글 1개
2023.11.01
허나 쓰면서 그 분야에 대해 정리해보고 공부해본다는 점에서는 도움되기에 교육적 목적으로 지도교수님께서 학생에게 초안 쓰게 하실 수 있습니다.
결론: 교수님이 쓰라 하시면 왈가왈부 말고 그냥 쓰세요.
2023.11.01
리뷰 써보는것도 좋습니다. 공부도할겸 뭐... 리서치 아티클이 아니더라도 임팩트있는 아티클 충분히 쓸수 있구요... perspective나 review로 네이쳐 썻다고 의미가 없다고 말할순 없겟죠. 한국의 일부 학교에선 의미가 없으려나..
전 리뷰논문 2개썻고 2개 공저로 들어가잇는데 리뷰4편에서 인용이 한 700정도 나왓네요. 총 인용은 3천대입니다. 실적에 포함이 되느냐 마느냐는 잘 모르겟지만.. 공부하는 기회라 생각하고 많이 읽고 많이 써보면 알게모르게 도움이 된다고 봅니다.
2023.10.31
대댓글 1개
2023.10.31
2023.10.31
대댓글 2개
2023.10.31
2023.11.01
2023.10.31
대댓글 1개
2023.10.31
2023.10.31
대댓글 1개
2023.11.01
2023.10.31
대댓글 1개
2023.11.01
2023.10.31
대댓글 2개
2023.11.01
2023.11.02
2023.11.01
대댓글 1개
2023.11.01
2023.11.01
대댓글 1개
2023.11.01
2023.11.01
대댓글 1개
2023.11.01
2023.11.01
대댓글 1개
2023.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