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박사급 이상 직업에서 학부 학벌 의미가 없는 이유가..

IF : 1

2024.02.27

9

8799

직업 특성상 다채로운 학교의 교수들과 일하게 되는데 지방으로 내려갈 수록 학부 출신이 다채로움, 이공계 한정이긴 하지만.
지방 대학이라고 해서 다 낮은 학부 출신들이 아님 그렇다고 박사를 학부보다 낮은 곳에서 한 것도 아님.
특히, 고대-고대-고대 출신들 지방에서 많이 봄. 서울대 학부에 뭐 그냥 박사 받은 교수도 봤고 상위권 인서울에 유학파 교수도 봤음.
김박사넷에서 학부 잘 나오면 지방 대학 안 가는줄 아는데 그런거 아님.
학부 어디 나오든지 같은 학교 근무하면 거기서 거기임. 학부 서울대 나왔다고 해서 과 사람들이 특별 대우 해주는거 아님.
그런데 카이스트나 포스텍 출신들은 지방에 거의 없긴 하더라..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4.02.27

지방대는 아니고, 국내 이공계에서 10위권에는 들어가는 학교 교직에 있는 사람입니다.
글쓴이분은 "같은 직장을 다니게 되면" 학부가 큰 의미가 없다 라고 말씀하시고 계신겁니다.
그말이 학부의미가 없다는건 절대 아니죠. 그 직장을 들어갈때, 특히 교수를 목표하게되면 학부가 좋은게 꽤나 큰 메리트가 됩니다.
애초에 그 직장을 들어가는 과정속에서 알게모르게 학부의 혜택을 보게되는데, 임용이후 삶을 비교하는게 의미가 있나 싶네요.
그리고 학부가 낮아도 좋은학교에 임용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다만, 그 사람들은 누가봐도 경쟁자들에 비해서 뛰어난 실적을 갖고있거나, 미국탑대학에서 학위를 받으면서 이미 경쟁력을 인정받은 경우입니다.
그럼에도 특정 학교 혹은 정출연에서는 아직까지도 서울대 학부우대 하는경우 허다합니다.
저또한 학부 서열짓하자는건 절대 반대하지만, 학부의 중요성을 반대하는 근거는 많이 부족해보입니다. 학계의 경우 학부/실적 모두 중요하며, 실적으로 충분히 학벌차이를 능가할수 있다가 정확하죠.

대댓글 1개

2024.02.27

제목부터가 직업에서 학부 학벌이 의미없음 인데, 굳이 임용 상황에서의 중요성을 언급하고 계시네요. 말씀은 동의합니다만, 글에 맞는 댓글은 아니지 싶습니다.

이제 부교수 승진 앞두고 있는 조교수로서, 선생님의 댓글과 본문 모두 동의합니다.

평가는 더더욱 실적에 집중하는 형태가 되어가고 있지만 아직 학부가 주는 인상에서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그와 동시에 임용 이후는 심지어 어디 출신이었는지 까먹는 경우도 있습니다.

마치 우리가 수능 이후 삶에서, 수능 성적이(물론 학벌은 영향이 있지만) 향후 미래에서 다시 평가되지 않는 것처럼 임용 이후 학벌 논쟁도 의미가 없습니다.

즉, 김박사넷에서 보이는 이러한 학벌 논쟁은 결국 임용되지 못한, 또는 임용을 앞두는 이들의 관심사 같다고 생각이 되네요.

2024.02.2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이런 부류를 소설이라고 하는겁니다.

2024.02.2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하늘을 날아본적 없는 닭이 하늘을 나는게 의미가 없다고 하는꼴이네... 백날 학벌세탁 울부짖어도 학부는 평생간다. 특히 대한민국서는

2024.02.27

이런글 쓰면서 학벌의미없다고 버럭버럭하는이유자체가 학벌이 중요하다는걸 반증하는거 아닐까...
진짜안중요했으면 이런글 아예 올라오지도않지...

2024.02.27

카이스트나 포공 출신이 지방에 없다기보다는 그냥 거기는 원래 학생수가 적어서 어딜가든 흔치않습니다

2024.02.28

학부는 평생감 석사 박사 학벌이 크게 의미가 없는거지 spk 박사 나와도 IF 30넘는 논문 없는 사람은 의미 없음 그냥 국내박사일 뿐

대댓글 2개

2024.02.28

어떤 학교를 나왔던지 IF 20 이상 및 10이상 다수 일경우도 충분히 의미 많음.

2024.02.28

IF 4~5따리가 최대치인 수학과는 웁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