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졸업이후에 해외로 나갈 준비를 같이 하려고 하고 있구요. 해외에서 보는 한국 대학들의 평가가 궁금합니다.
물론 논문을 뭘 썼고 뭘 해왔냐가 제일 중요하지만
학교도 보는지.... 해외에 대한 그런 시선이 궁금합니다.
만약 해외에서 영향이 있을거라면 다시 생각해보려고 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2024.06.25
학교에 대한 시선은 없을것 같습니다. 하지만 한국인 많은 곳이라면 어떻게 볼지 모르겠네요. 이와 별개로 별로 추천드리진 않습니다
대댓글 1개
2024.06.25
그렇군요... 역시 쉽지 않겠네요... 다른곳을 알아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4.06.25
전남대가 다른 지거국에 비해 특별히 평가가 좋지 않을 이유가 있나요? 지거국중에서 탑급이거나 하지는 않다는 정도 아닌지.. 어쨋든, 해외에서는 한국 대학 잘 모릅니다. 해외 대학 교수님들은 한국 대학들을 어느정도 아시겠지만, 보통 서울대 정도 들어본 정도고, 카이스트나 포스텍도 아는 사람 많지 않습니다. 상위 학교에 진학하면 실적 등 쌓기 쉬워서 해외로 나갈 기회가 커진다는 마음이라면 모르겠지만, 해외로 나갔을 때 대외적 인식이 고민이라면 서울대정도는 가야 체감이 되시지 않을까 싶네요
논문 실적만 좋다면 학위한 학교가 어디인지는 크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국내도 그럴진대 해외는 더더욱 그렇습니다. 채용 심사 몇 번 들어가 보시면 학생들이 박사 학벌 따지는 것이 얼마나 허황된 것인지 쉽게 아실 수 있습니다.
2024.06.25
음.. 박사학벌 중요하지 않다고 하시는데 매우 중요합니다. 간판도 간판이고 네트워크도 그렇구요. 좋은 대학 많은데 전남대서 굳이 박사를 할 이유가 없다고 봅니다.
대댓글 3개
2024.06.26
혹시 심사 가보신 적은 있으신지요. 교수 채용 뿐 아니라 정출연이나 사기업이라도요. 학부면 모를까, 단언컨데 대학원 간판 보던 시절이 있었는지도 모르겠지만 있었다면 애시당초 지나갔습니다. 해외 박사나 해외 포닥이나 네트워크를 기대하지 국내 후레시 박사에게 네트워크 물어보지도 기대하지도 않습니다. 더구나, 해외 가면 우리나라 대학 알지도 못할 뿐더러, 들어봤다면 서울대라는 곳이 있더구나 정도나 압니다.
2024.06.26
글쎄요.. 지거국에서 박사하는 것과 과기원 수준의 학교에서 박사할때 평균적으로 어디서 좋은 실적을 얻을 확률이 클까요? 당연히 후자겠죠. 좋은 실적을 낸다면 좋은 포닥자리로 갈 확률이 높아지겠지요. 당연한 이치입니다.
그리고 지거국 박사받고 임용까지 가는 케이스가 많나요? 과기원급 이상 레벨에서 많을까요?
그리고 사기업에서는 더더욱 간판보고 뽑습니다.. 연구핏만 안봐요. 오히려 정출연 쪽이 학벌을 덜 보죠.
국내 네트워크가 안중요하다구요? 서포카에서만 박사해도 나중가면 다른 실험실 친구들이 교수돼서 과제 끌어주는 경우 허다한데요. 뭐가 안중요합니까?
지거국쪽에서 박사내지 교원하고 계시는거 같은데 우리 앞길 창창한 친구들에게 현실을 알려주셔야죠 ㅎㅎ..
2024.06.27
마지막으로 댓글 답니다.
1) 실적이 좋은걸 '학교 간판'이라고 하지 않죠. 2) 지거국 박사 받고 임용 케이스보다 SKP가 많습니다. 이유는 실적 때문이지 '학교 간판' 때문이 아닙니다. 3) 사기업에서 학교 보고 뽑느다는 낭설은 어디서 나온건지요. SKP 박사를 '학교 간판'으로 선발한 기억도 없고, 본적도 들은적도 없습니다. 블라인드 시절에 뽑고 나니 SKP 였던 기억은 있네요. 4) 실험실 친구들이 교수되어서 겨우 개인 과제 끌어주는걸 채용 시 기대하는 네트워크라고 생각한다면 할 말 없습니다. 적어도 현직은 아니신걸 알겠네요.
SKP 가는 이유는 좋은 실적을 낼 가능성 때문이지 '학교 간판' 내지 '학벌' 때문이 아닙니다. 지방대에서 막 인서울 석사 들어간 김석사 신 것 같은데, 앞길이 창창한 친구시니 현실 알려드립니다.
IF : 1
2024.06.26
박사후 해외 가실거면 전남대가 아니라 서울대여도 쉽게 가기 어렵습니다. 학위를 받은 학교의 문제가 아니라, 비자/펀딩/영어/실적 등 다방면으로 준비를 해야됩니다
2024.06.26
이런거 물어보는거 자체가... 쓰니도 이유 알고있죠?
2024.06.26
석사도 아니고 박사를요? 직장생활하면서 학위가 필요한것도 아니신데 외람되지만 투입대비 얻을 수 있는게 너무 적을거 같습니다.
2024.06.27
National University 라고 하면 다들 좋은 학교라고 생각합니다. 걱정 안해도돼요
2024.06.27
해외로 포닥을 갈 입장이라면 솔직히 일정이상이면 상관없습니다. 다만 일반적으로 해외출신 지도교수님 아래에서 박사학위를 할 경우 좋은 학교에 컨택이 쉽긴 하겠죠. 그런데 거기에서도 영어, 펀드 등 본인이 매력적일 이유를 만드른 환경을 생각하면 전남대 보다 즣은 곳을 가는게 이득인 점은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최종목표가 해외 포닥일리는 없을테고 국내로 돌아오실 생각이라면 무조건 국내에서 더 인정 받는 곳에서 박사학위를 하시는게 좋습니다. 일단 국내는 무조건 학벌에 대한 영향력이 지대하기 때문에 돌아오실 거라면 무조건 높은 학벌 추천입니다.
2024.06.25
대댓글 1개
2024.06.25
2024.06.25
대댓글 1개
2024.06.25
2024.06.25
2024.06.25
2024.06.25
대댓글 3개
2024.06.26
2024.06.26
2024.06.27
2024.06.26
2024.06.26
2024.06.26
2024.06.27
2024.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