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 제가 개인적인 사정으로 일반대학원을 못 간다고 치면요 (예를 든 것입니다.) (뭐 나이가 60대라던가해서 연구실에서 안 받아줘서, 또는 주부라서 낮에는 집에 있어야 해서, 또는 병자라서 낮에는 병원에 있어야 한다 거나)
밤에 특수대학원으로 가서 전공 과목을 수강은 다 할 것이고. 그리고 그 특수대학원이 논문까지 쓰는 과정이라서 석사학위 논문을 쓸 것이구요. 그리고 특수대학원이지만 교수가 1일 1논문도 하라고 시킬 것이니까 논문도 꾸준히 볼 것입니다.
그런데 특수대학원을 다니면서 일반대학원의 연구실 생활을 혼자 영위할 수 있을까요?
내가 추측하는 일반대학원 석사의 연구실 생활을 하면 장점이... (1)매주 있는 배운 논문 세미나 강의 하고 듣기 (2)학위 논문 말고 개인이 쓰고 싶은 논문 써서 교수한테 컨설팅 받기 (3)박사 연구논문에 실험보조로 해서 논문에 제2~4저자 되기 (4)연구실 연구 프로젝트 기획/프로포절 문서 작성하기 (5)학회 참석해서 주요 연구원들과 인맥 만들기
그리고 단점이 (6)내가 하려는 연구와 관련 없는 프로젝트로 시간을 대부분 소진한다. (7)기타 여러 잡일로 논문/연구에 쓸 시간이 별로 없다.
이런 상황이라면 특수대학원을 다니면서 (직장을 안 다닌다고 치면) 낮에 시간이 널럴하다면 (1)은 그냥 혼자 철저히 1주일에 1논문 세미나하기 그리고 녹음해서 자기가 세미나 한것 스스로 비판/개선하기 그리고 널럴한 시간 동안 개인 연구하고 (2)은 논문컨설팅 업체에 맏겨서 관련학회에 논문 낸다. 이렇게 하면 특수대학원을 다니면서 어느 정도 일반대학원 다닌 것과 비슷한 효과를 낼 수 있고 잡일을 안 해서 오히려 더 논문을 많이 쓰고 할 수 있지 않을까요?
어떻게 생각하세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3.02.01
논문을 쓴다는게 어떤 것인지 전혀 인지하고 있지 못하고 하는 망상에 가까운 글로 보입니다
대댓글 2개
2023.02.01
연구를 할 때 필요한 기자재 같은 것도 필요하다는 말씀? 그래서 혼자서 연구하고 논문 쓰기는 힘들다는 것?
2023.02.01
일단 일반대학원과 특수대학원의 차이부터 명확히 아셔야 합니다. 단순히 전일제가 맞다 아니다의 차이가 아니라 배우는 것, 목표부터 다릅니다. 특수대학원의 경우는 논문을 크게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또한 졸업시 일반대학원 처럼 학술학위가 나오지 않습니다.
위의 글에서 작성자님께서 생각하는 대학원이라는 곳은 일반대학원이지 특수대학원이 아닙니다. 도움을 받지 못하고 혼자 연구하게 될 가능성이 큽니다. 혼자 연구해서 실적을 낼 수 있다면 학위가 아예 없어도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2023.02.01
특수대학원은 연구를 위한 곳이 아닙니다. 코스웍을 통한 공부를 위한 곳입니다. 일반대학원 석사라고해서 뭐 연구경험을 충분히 많이 하고 나오지는 못합니다만, 그럼에도 그걸 독학으로 메꾸는 것은 너무 어렵습니다. 말씀하신 두가지 독학 방법은 굳이 특수대학원을 가실 필요도 없이, 그냥 내일 아침부터 시작하셔도 됩니다. 교수님의 지도 없이 어떤 논문을 읽을 것인지, 알게된 사실과 논리에 문제는 없는지, 보충을 위해 어떤 공부/연구/실험 등을 할 것인지 등등, 스스로 해내는 것은 경험이 충분히 있는 사람들조차 어려운 일입니다. 일반대학원에 진학할 수 없는 이유가 있음에도 연구를 경험해보고 싶으신 것이 가장 핵심인 것 같은데, 글에서 말씀하신 것으로는 원하는 정도를 도달하지 못할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말씀드립니다.
대댓글 2개
2023.02.01
코스웍 없이 논문을 읽지 못하잖아요. 아무리 같은 분야 학사학위가 있다 하더라도 논문들에서 사용하는 이론 수식들을 해독하려면 석사 코스웍은 필요할껄요. 제가 특대 재학생한테 들은 얘기도 그런 말이었어요 논문의 수식이 처음에는 먼소린줄 몰랐는데 특대 공부 하다보니 이제 조금은 이해가 간다구요
2023.02.01
저는 제 의견을 전해드린겁니다. 코스웍을 통한 지식습득이 당연히 관련 분야 논문을 읽는데 도움이 되겠죠. 그 지인분의 의견도 당연히 일리가 있습니다. 방법이 무엇이든 공부를 더 하는건 무조건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제 경험에서 코스웍보다 도움이 된 것은 논문을 많이 보는 경험 자체에서 오는 실력향상이었습니다. 최신논문은 어차피 코스웍에서 커버 못하는 개념을 기본으로 깔고갑니다. 그걸 이해하는 기초 능력은 이미 학부과정으로 충분하죠. 코스웍은 조금 거들뿐입니다. 코스웍에서 조금 더 배워봤자 아주 최신이론까지는 못배웁니다. 논문을 보는건 그걸 이해하기 위한거구요. 공부를 더 하고 싶으신거면 특수대학원 강추합니다. 하지만 연구까지 경험하고 싶으신거면 그냥 일반대학원으로 가시는게 낫다는게 제 의견입니다. 코스웍에 더해 교수님 지도까지 있으니까요. 교수님 지도를 혼자 독학으로 메우는건 쉽지 않습니다. 정말 이건 어려운 일이에요. 그럼에도 이미 마음이 특수대학원으로 기울어 계시면 그대로 하면 되는거겠죠. 굳이 부정적인 제 의견은 들으시지 않으셔도 될 것 같네요.
2023.02.01
대댓글 2개
2023.02.01
2023.02.01
2023.02.01
대댓글 2개
2023.02.01
2023.02.01